돌아온 저격수다2 - 시청소감

돌아온 저격수다2 - 시청소감
박정희 대통령은 민족문화에도 탁월한 업적을 남긴 분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2013.11.04 신*호 조회수 56

 

 

 (박정희 대통령의  문화재보호와 민족문화창달)

 

 

이 글은 2000년 6월 8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鄭在鑂 교수의 증언 녹취록임.)

- 필자 정재훈 -

 



저는 전통문화(傳統文化) 부분을 담당하는 문화재관리국의 공무원으로서 1963년부터 근무를 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1967년 현충사(顯忠祠)를 보수 확장하여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유적을 정화(淨化)하라는 지시에 따라 문화재 관련사업과 처음 인연을 맺게 됩니다.
그때 처음 지시한 것을 보면 국난극복(國難克服)의 정신(精神)을 고취(鼓吹)할 수 있는 민족교육(民族敎育)의 도장(道場)을 만드는 데 굉장히 많은 비중을 두었고, 그 다음에는 임진왜란 때의 항일유적(抗日遺蹟) 그리고 항일독립운동(抗日獨立運動)의 유적, 예를 들면 윤봉길(尹奉吉) 의사의 유적이라든지, 3․1 운동의 유적 등 이런 유적의 현장을 잘 정비하라는 지시들이 1966, 67, 68, 69년에서 70년대 초반까지 많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때 이런 말씀을 했어요.
“우리가 경제적인 부흥을 하려면 일본하고 경제적인 여러 가지 유대를 가져야 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제일 중요한 것은 정신적인 의식(意識)을 가지고 일본을 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역사상 일본과 우리, 일본이 우리를 침략한 역사의 교훈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된다.”

그게 임진왜란 관련 여러 지역의 정화입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閑山大捷)을 비롯하여 해전(海戰)에서 이긴 여러 지역의 유적으로서, 그 중에 아산 현충사가 서울에서 가깝고 일제시대 동아일보사가 거기에 국민의 성금을 모아 “충무공 정신을 계승하자” 하여 사당을 지어주고 정화한 게 있습니다.
원래 아산 현충사는 이순신 장군의 외갓집이고 가묘(家廟)가 있었던 곳인데 가묘는 집안의 개인적인 것이지만 이곳(현충사)을 크게 확장을 했고 성역이라는 말까지 붙여서 정화를 했습니다.
그렇게 한 이유는 일제식민지(日帝植民地) 사관(史觀)의 치욕을 극복하고자 하는 절대절명(絶對絶命)의 국민정신(國民精神) 함양(涵養)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후에 우리가 일본과 경제적으로 기계를 사온다거나 서로 교역을 해야 하고 관계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러한 정신적 바탕 위에서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시각(관점)에서 굉장히 여러 번 말씀을 하셨어요.

그 뒤 70년대 초반부터 또 어떤 일들이 일어나느냐 하면 우리 민족 역사에 위대한 업적을 남긴 사상가(思想家)의 유적을 현창(顯彰)하는 데 주력합니다.

불교 쪽에서는 원효(元曉), 그리고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은 고려의 대외 항쟁(對外抗爭)의 상징적인 것으로서, 그것이 세계적인 문화재인 동시에 인쇄문화의 기본적인 틀이며 또한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쭉 내려오는 불교와 접합된 정신문화(精神文化)의 구심점(求心點)이라고 보시는 겁니다.
그리고 조선에 와서는 주자학(朱子學)을 조선의 성리학(性理學)으로 그리고 조선의 철학(哲學)으로 발전시킨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 율곡(栗谷) 이이(李珥) 선생, 또는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선생 등을 기리기 위하여 도산서원(陶山書院), 오죽헌(烏竹軒), 자운서원(紫雲書院), 원래 해주의 석담구곡에 은병정사를 지었던 유적인 율곡 선생의 서원이 있는데 이북에 있으니까 보수정비사업을 못하고….
그리고 필암서원(筆巖書院:전남 장성, 하서 김인후 선생) 등 정신사에 중요한 위인이나 사상적 체계를 유학적(儒學的), 성리학(性理學)으로 계승하는 유적이라든지 또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선생의 실학(實學), 추사의 글씨체라든지 한국(韓國)의 자주적(自主的)인 예술문화(藝術文化)의 근본(根本)이 되는 그런 유적도 정비를 했습니다.

그 다음 전통문화를 제대로 계승을 해야 되겠다고 하는 사업으로서는 대표적인 것이 1971년 ‘경주 개발(慶州開發)’이라는 큰 명제를 가지고 경주의 신라 문화 유적을 총괄 정리하는 사업을 전개한 겁니다.
1971년부터 5개년 계획, 그 다음 5개년 계획, 1차 5개년, 2차 5개년 이렇게 했는데, 그 중에 굉장히 중요한 것은 그때에 박정희 대통령은 이미 경주의 유적을 잘 알고 있었어요.
그때 청와대 정보비서관 권상하 씨한테서 들은 이야기인데, 대구사범에 다닐 때, 대구사범은 일제 때 관비(官費)를 주었기 때문에 여행비를 적립해서 일본의 경도(京都)나 나라(奈良)에 꼭 수학여행을 가야 되는 때가 되었는데 안 가고, 한국의 학생들만 빠져 가지고 경주의 유적을 쭉 답사하고 신라 문화 유적에 대한 체득과 화랑의 정신을 이어받는다고 경주 유적을 답사했던 사진을 보여준 일이 있어요. 그 사진을 보면 각반(脚絆)도 치고 학생모를 쓰고 김유신(金庾信) 장군묘 앞에서 찍은 것도 있습니다.

그러한 유적에 대해서 박정희 대통령은 어릴 때부터 우리의 문화 유적을 통해서 일본을 이기려면 우리의 정신문화나 문화 유적의 그 뿌리를 잘 알아야 되겠다는 의식이 있었다는 그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사진도 보여주었는데 아마 그 사진도 남아 있을 겁니다. 구미나 대통령 유족의 집안에….

박 대통령은 경주의 문화 유적에 대해서 상당히 많이 알고 있었어요.
제가 그 당시 경주 문화 유적 개발을 담당하여 입안하는 실무자로서 참여를 했는데, 제가 13개 지역에 대한 경주의 유적을 설명하면 박 대통령께서는 거의 다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 것이 체질적으로 어릴 때부터 체득되어 있었던 것 같아요. 또 경주하고 대구가 가깝기도 하고….

박 대통령은 고고미술이나 고고학을 전공한 분이 아닌데, 일제시대 때 일본사관(日本史觀)으로 쓴 신라사나 한국의 전통미술사나 고고학에 대해서, 실지로 경주의 천마총(天馬塚), 98호고분, 안압지(雁鴨池), 월성(月城), 왕경지(王京地), 황룡사지(皇龍寺址) 등을 발굴하게 해서 전부 다시 쓰게 하여 자주적인 사관(史觀)으로 우리의 문화사(文化史)를 새로 정립하게 했습니다.

비근한 예를 들면 신라 금관의 경우, 외관(外冠), 내관(內冠), 조익형 관식(鳥翼型 冠式)의 3가지를 금관총의 금관을 발굴하고 난 뒤에 꿰맞췄습니다.
유물들은 일본 경찰관이 들어낸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어요.
그때 그 발굴은 학술적인 계획 발굴이 아니고 집 짓다가 유물이 출토되어 긴급히 수습 발굴을 한 것입니다.
그 후 1926년 서봉총 금관을 발굴할 때는 계획 발굴을 한 것입니다.
서봉총 금관은 금관 위에 십자로 투구처럼 돼 가지고 그 위에 봉황이 있습니다.
그러면 신라 금관은 조익형 관식과 내관이 들어가는 금관이 아니라는 것을 서봉총 발굴결과로 이미 알았어요.
그런 것을 1926년 일제시대 때 발굴하고 난 이후 우리가 1973년 천마총을 발굴하기 전까지는 신라 금관의 형태를 잘못 이해하고 있었어요.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신라 금관의 잘못된 형태를 가르쳤습니다.
이런 것을 전부 바로잡게 된 것은 경주의 유적에 대하여 고고학적 연구와 과학적 검증을 거쳐서 발굴을 했기 때문이고, 그리고 그것(유적, 발굴물)에 대한 보고서를 세계에 다 내놓았습니다.
천마총 발굴 과정의 영화는 불어, 영어, 일어, 중국어로 온 세계에 상세하게 각 나라의 말로 더빙(dubbing)해 가지고 보냈습니다. 지금 소련 국립박물관이나 평양 박물관에도 천마총 발굴 과정의 (기록)영화는 있을 겁니다.

그와 같은 것을 종합 정리해서 한국 미술 5000년 전(展)을 일본을 비롯하여 미국, 독일 등 전 구라파에서 개최하여 한국문화가 일본문화 그리고 중국문화와 어떻게 다른가를 실증적(實證的)인 유물을 통하여 세계적으로 그것을 부각시키고 선양하게 했습니다.

이러한 발굴유물 전시사업은 경제적 교역활동을 함에 있어 한국 상품이 전통성을 가지고 있고 역사적으로 오랜 기술, 예술, 학술이 있는 나라라는 것을 보여주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그런 부분에 있어서 박정희 대통령은 군인이기보다는….
저는 어떤 의미에서는 일본의 교육이 대단히 완벽한 교육(전인교육)이라는 것을 느꼈어요. 역사의식 같은 게….
왜 그러냐 하면, 박정희 대통령께서 1960년대에 고속도로(高速道路)를 낼 때, 대구에서 경주 구간에 고분(古墳)이 많이 걸렸습니다.
‘방내리에 고분’이 64기를 발굴해야 하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건설부장관이나 건설부 쪽의 사람들은 보이는 모든 것은 그냥 고속도로뿐이고 그날 그날의 사업 진척만 눈에 보였어요. 그래서 그때 건설부 쪽 사람들은 그대로 밀고 가려고 했습니다.
그 당시 제가 문화재를 담당하는 계장(문화재관리국)인데, 대통령께 그대로 밀고 가면 안 된다는 것을 보고드렸습니다.
보고드린 후 박정희 대통령은 이한림(李翰林) 건설부장관한테 “다 발굴하여 조사하고 난 후에 공사를 진행하라”고 했습니다.
건설부에서는 깜짝 놀랬어요.
그 당시 제일 우선 순위가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를 만드는 것인데, 그보다 더 귀중한 우선 순위의 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거예요.
그래서 6개월이나 그 공기(工期)가 지연되었어요.
경주에서 대구간의 고속도로 공사가 그 당시에 6개월을 지연할 경우 그때 건설부가 계산한 것을 보면, 중기 손료(重機損料)만 하루 4,000만 원이라고 계산돼 있었어요.
그 구간에 투입된 모든 중장비라든지 토목공사를 맡은 회사가 놀게 된다 말이죠.
발굴하는 기간 동안… 그 기간이 6개월인데….

이 일이 있은 후에 문화재보호법(文化財保護法)을 개정하여 고속도로나 모든 국토개발 과정에서 문화유산이 있으면 시공자가 부담을 하여 모두 발굴한 다음 공사를 하라는 것이었고, 이것이 대통령의 지시였습니다.

그러니까 제일 높은 곳에(제일 높은 가치) 민족문화유산(民族文化遺産)을 두었습니다. 즉 민족문화사업(民族文化事業)은 어떠한 사업보다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정립한 겁니다.

그러한 것 중에 또 하나는 창원 공업단지를 만들 때입니다.
거기에 성산 패총(貝塚)이라는 큰 산이 하나 있습니다.
패총(조개무지), 옛날에 그게 초기 철기 시대의 쓰레기통입니다. 그걸 발굴 조사했는데 거기에서 칼도 많이 나오고 성곽(城郭) 유적이 나왔습니다.
원래 그 산을 깎아 바다를 메워서 ‘창원 공업단지’를 만들려고 한 겁니다.
그런데 대통령께서 현장에 오셔서 보고, 그 산을 깎아 뭉개지 말고 그 산을 사적(史蹟)으로 지정해서 잘 보존하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산을 깎아서 매립하려고 했던 흙이 없어진 겁니다.
그래서 전부 다른 곳에서 흙을 갖다가 메웠습니다.
그렇게 함으로 해서 창원 공업단지의 조성이 1년 이상 늦어진 거예요.
그런 상황에서도 그것(패총)을 보존했습니다.
지금도 사적으로 지정해서 보존되고 있어요.

그때 박정희 대통령은 안압지(雁鴨池), 불국사, 월성(月城), 천마총(天馬塚), 98호고분(古墳), 이런 발굴 현장은 물론 성산 패총 발굴 현장에도 오셔서 우리를 많이 격려해 주었어요.
그런데 그때 저는 대통령이면 누구나 발굴 현장에 와서 격려해 주시는 것이 하나의 관례이구나 이렇게 생각했어요.
사실은… 그 뒤에 여러 대통령을 모시게 되면서 발굴 현장에 대통령이 와서 문화유산을 조사하는, 고고학이나 미술사 하는 사람들을 격려하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일이었구나! 하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박 대통령은 역사의식이나 민족문화에 대한 열정이 있고 그것을 잘 보존해야 된다는 마음이 굉장했어요.

1970년대 초반에는 “전국의 모든 문화유산을 조사해라, 그것을 가지고 문화재 관리행정의 체계를 잡아라.”
그래서 우리 나라의 모든 문화 유적을 조사하게 된 겁니다.
지금 문화재관리청의 모든 관리행정의 기본을 이루고 있는 게 ‘전국 유적 총람(全國遺蹟總覽)’입니다.
그걸 박 대통령이 지시해서 한 거예요.

그때 보면 대통령은 그런 일을 그냥 자기가 책도 안 보고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제가 대통령 집무실에 공사투시도(工事透視圖)를 가지고 여러 번 보고하러 간 그때의 실무자인데, 집무실에 가면 컴컴한 방에 아주 지방학교의 교장선생님실 같이 그렇게 돼 있어요.
그 방이… 그 방에 깔린 마루가 있는데 디디면 삐걱삐걱했어요.
그게… 못이 오래 돼 가지고 사람이 디디면 푹 내려가고 올라오고….
대통령 집무실은 그저 한 8평 정도? 내 눈짐작으로는….
그리고 옆의 벽에 서가가 있는데 한 벽에 보니까 우리 나라 문화유산, 문화재에 관한 책이 제일 많이 꽂혀 있었어요.
그걸 늘 빼 보시기 때문에 거기 손때가 제일 많이 묻어 있었어요.
그래서 그때 저는 ‘아! 우리 나라 대통령이 우리 나라 문화유산에 관한 책을 읽는구나!’ 하는 것을 느꼈고… 그리고 삐걱삐걱하는 그 마루를 안 고치고 있더라구요.

저는 1973년부터 경주사적관리사무소 소장으로서 경주에 있는 문화 유적의 발굴과 정비하는 때에 책임자로 있었는데, 그때도 경주 오시면 저는 소장이니까 점심시간에 끼여 들어 멤버가 돼 가지고 점심을 먹기도 했는데, 보면 굉장히 검소합니다.
꼬리곰탕 같은 것 좋아하시고, 그리고 번거롭고 화려한 것을 좋아하시는 게 아니고….

그전에도 한번은 대통령께서 국립중앙박물관 건립, 경복궁의 지금 박물관이 중앙박물관으로 건립된 거요.
그때 투시도를 그려 가지고 가서 공사계획을 설명하니까 그 투시도가 굉장히 좋다고 하시면서 집무실에 못을 박고 걸라고 하시더라구요. 집무실에 못을 박고 걸었어요. 그 뒤에 떼어 왔지만….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대통령이 왜 투시도를 대통령 집무실에 거느냐 하지만, 물론 미술적으로 아름다운 그림을 거는 기준으로 볼 때 투시도를 걸어서는 안 되겠지만, 그분은 ‘우리 나라의 문화유산을 보존 전시할 국립박물관의 건립공사 투시도가 아름다운 경관을 그린 화가의 그림보다 훨씬 실질적이고 그게 꼭 필요한 것이다’ 라는 대통령의 정책적 측면이 있었어요.

그때 대통령께서 우리 나라 건축양식으로 좀 지으라는 말씀도 있어서 그 뒤에 박물관을 우리 나라 건축양식으로 짓다보니까 기둥도 많이 걸리고 문제가 되는 것도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민족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자 하는 의지는 굉장히 강했습니다.
그런데 전통조경(傳統造景), 그때는 조경하라는 지시가 많았어요.
산이 헐벗어 있으면 난리가 났습니다.

사적지 정비사업은, 처음에 많이 추진한 사업은 현충사(顯忠祠), 제승당(制勝堂), 임진왜란(壬辰倭亂)의 3대첩지인 진주성(晋州城), 행주산성(幸州山城) 등 이런 유적지들입니다.
서울성(城)도 75년에 복원 정비한 겁니다. 서울성이 다 허물어졌던 거지요. 위의 여담이 거의 없었던 겁니다.

그런데 이런 걸 할 때, 대통령은 꼭 자기가 지시한 사항에 대해서 어떻게 하느냐 하면 설계도를 보자고 그러신다고요. 간단한 설계도를….
그러면 우리가 설계도를 30장, 40장 가지고 갈 수가 없잖아요. 그래서 여러 장의 투시도를 그립니다.
그때 내가 그 시대를 ‘투시도 시대’라고 했는데, 투시도를 가지고 가면 그게 단면, 측면, 평면… 군대에서 지도를 읽는다든지 도면을 보는 수준이 굉장히 높다구요. 그렇기 때문에 그걸 설명하면 딱 알아요.
아, 이게 길이가 얼마구나, 넓이가 얼마구나, 어떤 집을 짓는구나, 성을 어떻게 쌓는구나. 투시도를 쭉 보면서 대통령이 지시한 사항을 철저히 이행하는가, 안 하는가를 검증을 해요.
그 다음 공사하는 과정에 현장을 꼭 보십니다. 아니면 청와대 수석비서관이라도 꼭 내보내요.
현장에 가서 공사진행사항이 원래 설계도대로 잘 되는지? 그 일을 하는 데 무엇이 걸림돌이 되는지? 예산이 부족하지 않은지? 이런 걸 전부 해결해 줍니다.

70년대 언젠가 한번은 경제기획원에서 예산 편성을 해서 대통령께 최종보고를 하였는데 경제기획원장관한테 100억 원 정도의 예산을 조정하게 하였어요.
그때 우리 문화재관리국의 총 예산이 100억 원이 안 될 때인데, 민족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수십억 원의 사업 예산을 증액하여 추진한 일이 있어요.

요새 가만히 생각해 보니, 경주의 많은 들판을 1973년부터 사들여 가지고 사업을 했는데, 5년 동안 사들인 게 26억 원밖에 안 들었습니다. 수십만 평을 사들였는데도 말이죠.
지금 황룡사지 그런 데가 다 그때 도시였습니다. 지금 100여 동의 민가를 철거하고 그것을 다 사들이려면 몇 조 원이 들 거예요.
민족유산의 보존을 위해 사적지로 지정된 유적지를 가장 많이 국유지로 사들였습니다.
그래서 지금 생각해 보면 민족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해서 굉장히 멀리 내다보는 정책으로 그런 일을 했다고 봅니다.

그리고 처음에는 물론 강화유적(江華遺蹟)과 같이 국난 극복이나 대외 항쟁, 이런 것은 군사적인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어요.
제주도에 가면 ‘황바두리성’ 같은 것을 삼별초의 대몽(對蒙) 항쟁(抗爭)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한다든지, 고려궁지(高麗宮址) 이런 것도 우리가 몽고(蒙古)하고 싸웠다. 소위 말하는 그 당시 전세계를 제패한 ‘징기스칸’의 군대하고 싸웠다. 그런 기백은 위대한 것이다. 이런 시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민족의 사상적 체계를 세운다든지 또는 우리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근간을 만든다든지, 문화유산 보존의 근간을 만들었습니다.

‘정신문화원(精神文化院)’도 만들어 가지고 그때 만들어 놓은 민족문화백과사전(民族文化百科事典)이, 지금 사실은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정립시킨 중요한 역사적 사업입니다.
그게 만일 없었다면 정말 지금 세계화 전략에 있어서 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데 굉장한 문제가 왔을 거예요.
그런 측면의 일들을 차근차근히 굉장히 많이 했고, 그런 일 하는 사람들을 존중했어요.
왜냐하면 국무회의를 하고 난 뒤에 대통령이 장관들이 역사를 잘 모른다고 이선근(李瑄根) 박사한테 그때 문화재 위원장인데, 맨날(항상) 강의하라고 그랬어요. 그러니까 장관들이 한 시간씩 강의를 듣는 거예요. 문화사하고 역사를….
그리고 대통령 자신도 김재원(金載元) 박사라고 국립박물관장한테 한국미술사에 대한 강의를 들었어요. 대통령 내외께서….
그런 것을 듣고 5대궁(五大宮)의 비원 같은 것을 정비하는 것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한 겁니다. 처음에… 5대궁에….
왜냐하면 그때는 우리의 한 해 예산이, 내가 1963년에 문화재관리국에 들어가니까 전국 문화재에 대한 연간 보수비가 총 1,300만 원이더라구요.
그러니까 그때 대통령이 그러한 지시를 안 한다거나 정책적인 배려를 안 하면 돈이 많이 드는 문화유산의 한 부분을 보수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입장이었습니다.

6.25 전란이 일어난 이후 우리가 처음으로 61년, 62년에 고친 것이 강진의 ‘무의사 극락전’이고 두 번째 고친 게 서울의 ‘남대문(南大門)’이에요.
6.25 때 부서진 남대문을 언제 고쳤느냐 하면 60년대 초에 고쳤습니다. 돈이 없으니까….
그 다음 ‘석굴암(石窟庵)’을 보수했어요. 1962년, 1963년에….
그러니까 1967년부터 문화 유적에 대한 철저한 정비를 하게 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정화하라고 지시한) 이러한 항일(抗日) 유적이나 문화 유적을 보면 어떤 전통의 정신이 있어요.
도산서원에 가면 ‘퇴계 선생’을 제사 지내는 ‘상덕사’라는 사당이 제일 중심입니다. 서원에 가면 그렇지 않아요?
우리가 칠백의총(義塚) 하면 중봉(重峯) 조헌(趙憲) 선생이나 영규(靈圭) 대사(大師)의 항일 의병 정신이 있는 사당이 있습니다.
그런 거에 대해서 박정희 대통령을 가만히 보면 박정희 대통령의 종교는 ‘국가(國家)’인 것 같아요.
어디 가서 고개를 숙이느냐 하면 사당에 고개를 숙인다고요. 박정희 대통령이, 다른 곳에서 머리 숙이는 것이 아니라, 충무공의 현충사 사당에 가서 대통령이 절을 한다 말이죠.
그와 같이 우리 민족의 정신적인 사상가인 퇴계 도산서원의 상덕사에 가서 절을 한다든지….
오죽헌에도 율곡 사당을 다시 지었어요. 그런데 가서 절을 한다 말이죠.
그런 곳은 우리 민족의 정신이나 문화 유적으로서 국가라는 개념의 정신적인 실체를 구성(형성)하고 있어요.
그러한 유적이 1개 도 단위 거의 하나씩 있어요. 어떤 곳은 1개 도에 두 곳도 있지만….
부산을 보면 충열사(忠烈祠)가 있고, 경상남도에는 진주성, 의령에는 ‘곽재우(郭再祐)’ 장군의 의병 유적, 경상북도에는 통일전의 ‘신라 화랑정신(新羅 花郞精神)’을 구현하는 곳, 충남의 현충사, 칠백의총, 전라남도에는 포충사(襃忠祠)의 고경명(高敬命) 선생의 유적, 광주에는 충장사(忠壯祠)의 김덕령(金德齡) 장군, 경기도의 강화 전적지(江華 戰跡地), 충청북도에는 충민사(忠敏祠) 임경업(林慶業) 장군의 대외 항쟁, 강원도에는 오죽헌(烏竹軒)의 율곡 선생 등.

각 지역마다 그 지역 특성의 대외 항쟁사라든지, 우리 민족 문화사라든지 어떤 실체의 정신적 주체를 중심으로 아주 철저한 고증(考證)을 통해서 국민교육(國民敎育)의 장(場)으로 삼고자 했습니다.

지금 우리가 21세기 정보문화 시대에 걸맞게 세계화하더라도 세계화 전략상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 없으면 우리가 외환위기, IMF 위기가 오듯이 문화적으로 자기 것을 가지지 않으면 나중에 문화적으로 공허한 것이 되고 아무 것도 아닌 사이버 공간 속에 헤매다가 마는 것이 된다(민족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자기 생명력이 상실됨).

전통문화는 정체성(正體性) 확인, 사회통합(社會統合)의 기능, 문화창조력(文化創造力)을 제고하고 한국문화로 하여금 계속 개성적인 면을 지니게 하고, 국제화 시대에 ‘이미지 제고’의 중추적 역할, 남북한 통일에 대비 양측 문화간의 이질화된 부분을 극복하고 문화융합 등에 기여합니다.

그러니까 우리 민족의 기반, 우리의 정체성 확립을 통해서 “내가 누구인가?”를 먼저 알아야 세계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거에 대해서 아주 철저했습니다.
경제적으로도 다른 곳에서도 나타났지만….
자주(自主),
자립(自立),
자존(自尊)….
새마을운동에도 그러한 정신이 나옵니다.
실제 역사적 맥락 속에서 그러한 정신이 있는 곳을 정비 정화함으로써, 예를 들어 포충사의 고경명 선생 경우를 보면 그 지역과 그 지역의 씨족적인 관계하고도 연결이 됩니다.
그 정신이… 굉장히… 자기 혈통, 혈관에 스며들게 한다 말이죠. 그런 부분을 철저히 했어요.

그 뒤에 여러 대통령이 지나갔는데 비교해 보면, 그때 한 일들이 지금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언젠가는 다시 우리의 것을 재발견해야 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그리고 그 뒤 현충사 이 충무공의 제사를 4월 28일 지내는데, 박정희 대통령은 비가 오든 눈이 오든 거른 일이 없어요. 그 제사에….
대통령은 외국 대사도 만나야 하고 하는 일이 얼마나 많겠어요. 그런데도 그런 일에 철저했습니다.
본인이 그렇게 함으로써 국민 교육적으로도 그렇고… 학생들이 수학여행을 가도 다 그러한 곳에 갔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 부분에 너무 자유 방임상태 같은 것을 느낄 수 있어요.
그러한 체제 구축을 위해 박정희 대통령 시대에 우리는 한번은 일본을 정리하고 넘어가야 된다는 노력을 했어요.
광복의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광화문(光化門)’을 복원하는 것을 보게 되면…. 대통령 지시로 광화문을 복원했어요.
광화문이라고 하는 것은 실제로는 상징적인 의미이지, 문화유산적으로는 콘크리트로 만든 건물이에요.
조선총독부 건물을 못 뜯어내니까, 예산 관계로….
우선 광화문을 건립하여 극일(克日)하고자 하는, 일본으로 인한 우리 역사의 상처와 치욕을 딛고 일어서고자 하는 굉장한 의지였다구요. 돈도 없는 그때에….
1969년 그때, 광화문을 복원하라는 지시에 의해 복원을 했거든요.
지금 역사의 관점에서 보면 왜 그것을 콘크리트로 했느냐? 나무로 하지, 또 여러 가지 의견이 나오겠지만….
어쨌든 대통령, 한 나라의 통치자가 그런 의식을 가지고 있었거든요.
그거는 군사적인 것도 아니에요. 광화문 하나 복원하는 것은….
그러나 그게 일제가 1916년에 조선의 정궁(正宮)을 허물고 조선총독부를 건립한 것에 대한 정신적으로 극복하고 민족의 자주의식으로 자립해야 한다는 그런 의지였습니다.

국어교과서에서 옛날에 우리가 배웠지만 역사 속에 있는 사실 등을 실천하고자 했습니다. 사실은… 박정희 대통령은….
그래서 자기가 지시한 것은 설계도를 검토하고 추진사항을 보고 받고 준공식에는 꼭 본인이 참석하고 종결까지 확인하고 관리상태에 대해서도 수석비서관을 보내서 점검하고 그리고 그것이 역사적인 책(사료)에 정리되게 하는 등 굉장히 철저했습니다.

그리고 박정희 대통령은 무슨 장관이라든지, 계급(지위)을 중시하지 않고 아주 전문가(專門家)를 굉장히 존중했습니다.
발굴 현장에 와서도 그때 발굴을 하는데 김정기(金正基)라는 사람이 경주 발굴의 단장인데, 한번은 “내가 맨날 김정기(金正基) 박사라고 말하는 사람은 이 사람이다.”
그때는 따님 두 분하고 아들하고 다 데리고 오셨는데 그렇게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평상시에도 저 어디 유적을 발굴하는 한 자연인의 이름까지도 가족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거예요.
또 육영수(陸英修) 여사는 한번은 진해 갔다 오시면서 우리가 불국사를 복원하고 있는데… 여름에는 진해의 별장에 갔다가 오실 때면 경주를 꼭 들리세요.
육영수 여사는 불국사 복원한 것이 대통령이 하신 일 중에서 제일 자기 마음에 들고 제일 위대한 일 하나를 했다고 하더라구요. 불국사를….
우리는 불국사를 복원하는 이유가 박정희 대통령은 그냥 한 종교의 터전인 절을 복원하는 데 끝나지 않고 불국사라고 하는 것이 통일신라의 절로서 호국불교 정신의 구심점이면서 문화적으로 제일 정교하고 잘된 절이라는 것을 살리는 데 있었습니다.

거기에 다보탑(多寶塔:국보20號), 석가탑(釋迦塔:국보21號)이 있고 국보(國寶)로 지정된 청운교(靑雲橋), 백운교(白雲橋:국보23號), 연화교(蓮花橋), 칠보교(七寶橋:국보22號), 불국사 금동비로사나불좌상(佛國寺金銅毘盧舍那佛坐像:국보26號), 조각예술을 보면 금동아미타여래좌상(金銅阿彌陀如來坐像:국보27號)이라든지 그런 것이 있고, 그게 조경(造景)을 보면 구품연지(九品蓮池)에 그림자가 연못 속에 드리워져 가지고 2배로 보이게 하는 조영(照影)의 효과라든지, 청운교 백운교의 계단이라든지….
그런 계단의 잘된 것을 건설부에 이야기해 가지고 지하철 계단 조성에 원용하게도 했습니다.
지하철 계단을 불국사의 청운교 백운교의 계단을 본떠서 만들게 한다든지….

지금 서울 지하철의 내려가는 계단은 대개 우리 나라 사람들이 딛고 걸어가는 데 보폭이 한 자 정도의 길이가 된다든지….
불국사의 청운교 높이가 19cm인데 지금 계단의 높이가 18cm 정도로 유지하게 했습니다.

늘(항상) 그런 것을 절대로 함부로 보지 않고 우리의 전통에 있어서 정교하거나 우리의 정신이 들어 있는 문물에 대해서는 이 시대에 재활용, 재창조하는 데 철저하게 대통령이 이용하라고 지시했어요.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노인네(원로)들도 많이 만나고….
그때 보면 박종홍(朴鍾鴻) 특보 같은 사람을 옆에 두고 늘 이야기하는 그런 모습을 보면….

도산서원(陶山書院)이나 율곡의 유적을 정리하는 것은… 철학을 전공한 박종홍(朴鍾鴻) 특보(교수)가 대통령에게 잘 설명도 하고, 그런 거에 대해서 대통령이 잘 교육받은 거예요.
청와대 안에 대통령의 선생이 있게 하는 거예요.
수석비서관 회의할 때 보면 박 대통령이 박종홍 교수 보고 “선생님은 그냥 들으십시오.” 그러는 거예요.
그러면 박종홍 교수는 옆에서 듣고 있고.
그 다음 동주(東洲 李用熙) 선생, 이갑성(李甲成) 선생의 아들, 국제정치학 교수도 나중에 대통령 특보를 했잖아요.
그분은 추사(秋史)나 한국의 글씨나 미술사에 아주 능통한 분이에요. 동주 선생은….
그런 걸 대통령에게 늘 교육한다 말이죠.
그 안에서 대통령을 가만히 보면 자기보다 더 어른, 원로를 모시고자 합니다.
그러니까 저녁에 술을 먹어도 이은상(李殷相) 선생이나 이선근(李瑄根) 박사 이런 사람들, 문화재 위원이나 원로들하고 자리를 같이합니다. 공식적으로 점심 한끼 먹자고 해서 와 모아 가지고 하는 게 아니라 “오늘 저녁에는 나한테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하십시오” 이렇게 합니다.
이와 같은 이야기를 이선근 박사한테 여러 번 들었어요.

어제는 누가, 대통령하고 저녁을 먹었다든지 그런 식으로 만나서 대화를 하기 때문에 민족문화의 어디가 막히고, 보존하는 것에 대해서 가장 권위자이고 전문가의 이야기가 대통령한테 전달되는 겁니다.
자기는 들은 것을 행정적으로 다시 물어본다구요.
법률적, 현실적, 국가예산 측면에서 검토해 가지고 지시하기 때문에 지시한 것은 법률보다 무서운 꼭 실천을 해야 되는 그런 분위기가 됩니다.
그렇게 하고 대통령은 자기의 노트에 적고 그랬습니다. 지금 그 노트나 수첩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는 지시를 받아서 보고를 할 때 그 내용에 대해서 전부 대통령이 알고 있으니까 그런 것에 대해 공부를 하게 되고 전문가가 되어가는 거예요.
모든 행정을 관리하는 관리나 기술자가 모든 사람이 전문인이 되어갑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박정희 대통령 시대가 길고 통치 기간이 길어서 그런 것도 가능했는지 몰라도 좌우간 전문가가 아니면 말할 수 없게 합니다.

그만큼 대통령도 공부한 상태이고 행정(실무자)도 그러한 상태이고 그냥 잠시 자리를 맡았다든지 아무나 데려다 놓고 일을 했다가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그런 면에서 볼 때 국가경영에 굉장한 철학이 있었습니다.

저는 문화 관계에 대해서 다른 것은 모릅니다.
예술이나 일반적인 것은 모르지만 내가 맡고 있는 전통문화의 분야에는….
그래서 저는 전통 조경학을 전공하는 교수가 되었는데….
그것도 대통령께서 조경에 대해서 너무 많이 챙기고 하시니까… 그때 하버드 대학이나 일본 동경 대학 등에는 조경학과가 있는데 우리 나라의 대학에는 조경학과가 없었어요.
대통령한테 전문적인 조경에 관한 것을 설명해야 하니까 일반조경이론을 다 번역해 가지고 마스터한 전문가가 아니면 가서 이야기를 할 수가 없어요.
또 대통령은 그림을 쪽지에 잘 그려 주신다고요. 그런데 어떤 때는 그 그림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것도 있어요.
사실은… 예를 들면 불국사의 담〔墻垣:장원〕을 사고석 담(궁담)으로 하라 했을 때 저는 그것을 자연석으로 했지만 그렇게 하려면 중국의 담부터 일본의 담, 우리 나라의 담,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있는 옛 건축법을 다 연구해 가지고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말씀을 드려야 하는데 얼마나 전문가가 되어야 되겠습니까?

그것이 어떤 경우에는 대통령의 말씀을 다시 시정을 해서 추진할 때는 그 사람을 훨씬 몇 배의 전문가를 만들게 합니다.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것은 크게 지시하는 것보다 어떤 경우에는 전문적인 입장에서 마찰이 올 수도 있지요.
그러나 그런 것까지도 나중에는 대통령이 감안한다 말이죠.
“괜찮다. 그게 좋다.”
그러나 대통령은 그 사람이 상당한 전문가라고 인정하기 전에는 안 바꿉니다.
그런 면에서는 대단한 사람을 길렀다.
어떤 면에서는 문화면의 전문가를 길렀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씀드리면 국난 극복을 위한 대외 항쟁의 유적을 잘 정리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어떤 정신적인 지주를 형성해서 자주, 자립하는 정신으로 가겠다는 기본적인 목표가 있었고 그런 것이 어떤 경우에는 종교적인 입장 같이 그런 곳에 가서 정신적으로 우리가 사당을 지어 놓고 고개를 숙이듯이 그런 것도 하고 대통령 스스로가 제일 앞장서서 했고.
그 다음에 우리 민족의 사상사(思想史)를 정립해 가지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는 정신적 터전으로 하자.
예를 들면 퇴계 선생, 율곡 선생 등의 성리학 그리고 실학까지 다 정리해서….

실학의 대표적인 고대 도시가 화성(華城)이요, 수원성(水原城)….
수원성도 대통령이 지시해서 새로 다 쌓은 겁니다.
이와 같이 한 일이 굉장히 많은데, 직접 지시하고 준공식에도 참석한 사업들은 칠백의총(1970년), 제승당(制勝堂, 1975년), 현충사(1967년 4월), 강감찬(姜邯贊) 장군의 서울의 낙성대(1973년), 광주의 충장사(김덕령 장군, 1974년), 항일 투쟁을 했던 윤봉길 의사의 유적(1972년), 행주산성(1969년~1970년), 진주성(晋州城), 강화유적(江華遺蹟, 1969년~1970년), 강화의 초지진(草芝鎭), 갑곶진(甲串鎭), 광성보(廣城堡), 고려궁지(高麗宮址), 강화행궁, 정족산성(鼎足山城), 마니산 참성단(摩尼山 塹星壇), 남한산성(南韓山城, 1970년), 서울성(1975~1978년), 수원성(水原城, 1975년), 고창읍성(高敞邑城), 홍성의 홍주성(洪州城), 서산시(瑞山市) 해미읍성, 문경관문(聞慶關門), 추사 고택(秋史古宅, 1976년).
그 다음 새로 건립한 국립박물관(1966)이나 경주 박물관(1975), 공주 박물관, 광주 박물관 등….
그리고 전통문화의 동산문화재(動産文化財) 소위 전시해 가지고….
그때 보면 1개 도에 국립박물관을 하나 정도 둔다는 원칙으로 건립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무슨 군사 유적(軍事遺蹟)만 관리해 나간 것 아니냐 하는데 그런 거 아닙니다.
경주 유적의 발굴도 앞에서 말했듯이 한국의 민족사관(民族史觀)의 정립(定立)과 사상사적(思想史的)인 체계(體系)를 완전히 자주적(自主的)으로 쓰게 하는 데 기여한 것입니다.

한국 미술 5000년 전(展) 그리고 경주 천마총이나 능(陵)에서 발굴한 유물을 정리해서 전부 우리의 문화사를 새로 쓰게 했습니다.
일본 사람이 쓴 한국사에 대해서 다 새롭게 쓰게 해서 교과서도 다 고치고 그런 후에 그것을 전세계에 알리고 구라파, 미국, 일본 등에 전시하게 함으로써 한국문화가 중국문화와 일본문화와 어떻게 다른가를 알렸습니다.

사실 미국에 가면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한 아류(亞流) 또는 일본문화와 한국문화는 비슷한 것으로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동양문화에 대해서 이해를 잘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을 확연히 구분할 수 있게 정립시켜주고….
그때에 미술사, 고고학, 한국 조경학 등 이런 학과가 많이 만들어지고 교육적으로도 그러한 것을 뒷받침하도록 해주었습니다.

그리고 박정희 대통령 때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같은 것도 처음으로 만들어진 겁니다. 1962년에 문화재보호법(文化財保護法)이 처음 제정되면서 우리 나라의 춤, 노래, 의식(儀式) 이런 게 문화재로 만들어집니다.

이런 것(연극, 음악, 무용, 공예기술, 의식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 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정신적 문화유산이라고 함:문화재보호법 제2조)을 무형문화재라고 법으로 정하였습니다.
이런 분들, 인간문화재(人間文化財), 소위 말하는 춤을 추는 사람들이나 음악 하는 사람들, 공예기술의 장인 등….
옛날에는 이런 사람들을 하층계급으로 업신여겼습니다.
이런 분야를 숭상하고 보존해 나갔습니다.

서울 음대 안에 전통음악인 국악과가 설치된다든지, 무용학과에 한국의 전통무용학과가 생긴다든지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敎育課程) 중에 우리 문화를, 우리 예술을 강조한다든지….
그러한 것이 만일에 보존 조치가 안 되었다면 서양화 물결 속에서 우리 음악이나 그런 게 설자리가 없어졌을 겁니다.
지금은… 그런데 전통문화재인 인간문화재가 한 180~200명 지정되어 있는데 이런 게 1962년부터 만들어집니다.
박정희 대통령 시대부터….

무형문화재를 보존하는 나라는 우리 나라, 일본, 대만밖에 없습니다. 다른 나라는 전통이 단절되지 않고 자기 문화가 계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통문화가 계승되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도 실지로 박정희 대통령 시대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런 부분에 구체적으로 지시한 거냐? 아니냐? 할지 모르지만, 국가의 운영체제가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갔고….

제가 문화재관리국에 들어가기 전에는 1933년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朝鮮寶物古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令)」이라는 일본법(日本法)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보존 관리하는 체제인 중앙의 ‘국(局)’ 단위가 만들어진 것이 1961년입니다. 그러니까 5․16 혁명 이후에 만들어진 겁니다.
그전에는 ‘국립박물관 유물과(고고과)’의 한 사람이 전국의 유적을 관리할 정도였으며 또는 문교부 문화과 안의 ‘문화보존계(文化保存係)’가 그걸 했습니다.
그러니까 문화재를 주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구를 만든 것도 박정희 대통령 시대에 만들어진 겁니다. 지금은 문화재청(文化財廳)까지 승격했지만….

남북이 통일되면 금강산이나 백두산은 천연보호구역이나 명승지가 되어 문화재로 관리되야 하거든요. 금강산이나 백두산을 산림청이 무슨 임목관리를 하는 것이 아니잖아요. 문화적으로 생태학적으로 관리를 하려면 문화재 보호구역의 천연기념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이런 체제는 우리가 지금 금강산이나 백두산을 관리하는 게 국보나 보물의 동산문화재 하나를 지정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가치 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그런 부문에도 설악산, 한라산, 홍도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천연보호구역으로, 또는 명승으로….

이런 부분에 대한 관리체제는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업적으로서 총체적, 제도적으로 정부 차원에서 전통문화의 보존과 우리 국토의 원 모습을 보존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을 보존하고자 하는 것은 산림녹화(山林綠化)하는 정신하고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산맥이 단절되고 나지(裸地)가 되면(산이 헐벗으면) 해당 군수를 불러서, “왜, 산림녹화를 안 하느냐? 왜, 산이 저렇게 깎여 있느냐?” 추궁하면서 아주 철저했습니다.


후 기

박정희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이루어진 전통문화의 보존 계승 창달의 정책과 사업은 다음과 같은 문건과 책자로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961年 10月 2日, 舊皇室財産事務總局을 폐지하고 文化財管理局을 文敎部外局으로 新設하여 民族文化遺産의 保存, 硏究, 창달의 전담 정부 기구를 만듦.
2.1962年 1月 10日, 文化財保護法을 제정 공포하여 文化財의 보존관리에 대한 기본법을 확립함(1933년 日帝가 만든 朝鮮古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令이 폐지됨).
文化財保護法에 처음으로 無形文化財(음악, 연극, 춤, 놀이, 의식 등)와 民俗文化財(의, 식, 주)가 文化財의 범주에 들게 되어 민족 고유의 예술과 공예기술과 살림집과 음식과 옷이 문화재로 지정, 보호 받게 됨.
3.1966年, 정부는 古典國譯事業과 국학연구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民族文化推進會 구성하여 추진하였다.
4.1971年, 大統領 秘書室에 慶州觀光綜合開發計劃團 구성 운영
5.1974年 4月 17日, 文化財管理局 산하에 文化財硏究所를 新設하였다.
6.1978年 12月 5日, 韓國精神文化硏究院育成法 제정 공포, 韓國精神文化硏究院이 설립되었다.
7.1979年, 韓國文化의 海外 선양 보급을 위해서 海外 公報館 산하 海外 韓國文化院 설치(日本 東京, 美國 뉴욕, 로스엔젤레스, 프랑스 파리).




책 자

1. ꡔ慶州觀光綜合開發計劃ꡕ 1971年 靑瓦臺觀光開發計劃團 발행
The Kyongju Development Planning Group,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영문 책자도 있음)
2. ꡔ濟州觀光綜合開發計劃ꡕ 1973年 靑瓦臺觀光開發計劃團 발행(국어, 일본어판 있음)
3. ꡔ도산서원중수지ꡕ 1970年 12月 8日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발행
4. ꡔ행주산성보수정화지ꡕ 1970年 11月 10日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발행
5. ꡔ아산 현충사 연혁지ꡕ 1969年 4月 28日 문화공보부 발행
6. ꡔ칠백의총 보수 정화지ꡕ 1976年 12月 31日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발행
7. ꡔ강화 전사 유적 보수 정화지ꡕ 1978年 5月 25日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발행
8. ꡔ護國先賢의 遺蹟ꡕ 1977年 12月 문화공보부 1판 발행
9. ꡔ護國先賢의 遺蹟ꡕ 1978年 12月 문화공보부 증보판 발행
10. ꡔ護國先賢의 遺蹟ꡕ 1979年 12月 문화공보부 재증보판 발행




해 설

1.護國先賢遺蹟과 傳統文化遺蹟의 保存繼承에 對하여, 문화재 1과장 鄭在鑂, ꡔ文化財ꡕ 第11號 1977年 12月 30日, 文化財管理局 發行
2.“文化財委員會 略史” 文化財企劃官 鄭在鑂, ꡔ文化財ꡕ 第18號 1985年 12月 23日, 文化財管理局 發行
略 歷




약 력

∙ 생년월일 : 1938. 3. 3
∙ 학 력 : 1957 진주사범학교 졸업
1964 단국대 졸업
1991 한양대 환경대학원 졸업
∙ 경 력 : 1973 경주사적관리사무소 소장
1977 문공부 문화재 1과장
1978 국립중앙박물관 보급과장
1979 해외공보관 지원과장
1981 문공부 문화재 2과장
1983 同문화재기획관
1986 同문화재관리국장
1990 문화부 문화재관리국장
1993 문화체육부 생활문화국장
1995 국립중앙박물관 건립사무국장
1996 同사무국장
1997 문화재보호재단 발굴조사사업단 단장
1998 문화재위원(현)
1998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겸임교수(현)
2000 한국전통문화학교(4년제 국립대학) 석좌교수(현)
∙ 훈 장 : 근정포장
홍조근정훈장

댓글 0

(0/100)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