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소감
[re]새마을운동을 세계로 수출한다..세계가 배우는 새마을
■전세계 ‘빈곤 국가의 교과서’ 새마을운동■
현재 해외 74개국으로 새마을 운동이 수출되었고, 후진국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새마을 운동을 배우겠다며 방한하는 해외지도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6월 유네스코가 새마을운동기록물을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새마을운동이 국제사회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자랑스러운 세계의 유산이 된 것이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오늘날 세계인의 관심을 받게 된 이유를 살펴본다.
1970년대 ‘근면ㆍ자조ㆍ협동’ 기치를 내걸고 추진된 새마을운동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해외로 ‘수출’되고 있다. ‘새마을운동의 세계화’라는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새마을운동은 해외 보급률이 꾸준히 늘고 있다.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의 민간기구인 새마을운동중앙회에 따르면 세계화 시범마을은 13개국 32개 마을에 이른다. 2009년부터 올해까지 한국을 찾은 새마을교육생만 39개국, 996명에 이를 정도로 새마을운동에 대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의 관심이 크다.
몽골은 지난 5년 동안 4개 마을이 참여해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육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가축은행, 묘목장, 새마을거리를 조성하는 등 새마을운동에 가장 적극적이다.
가축은행은 축사를 짓는 가구에 가축을 지원한 뒤 여기서 나오는 소득의 일부를 현금이나 현물로 상환하도록 하고 이를 다시 다른 수혜자에게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원금을 전액 상환하게 되면 이를 마을 기금으로 내놓고 새로운 지역 사업에 사용할 자금으로 활용하고 있다.
![](http://res.heraldm.com/content/image/2013/11/28/20131128000923_0.jpg)
특히 몽골, 네팔,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키르기스스탄에는 현지 새마을회가 구성돼 한국에서의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렇듯 2000년 ‘제2의 새마을운동’이 선포되면서 14년째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 그 유ㆍ무형적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은 나오지 않았다.
![](http://res.heraldm.com/content/image/2013/11/28/20131128000924_0.jpg)
하지만 안성길 새마을운동중앙회 국제사업과장은 “새마을운동이 가시적인 효과를 목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며 “현지인의 빈곤퇴치 목적이 일차적이어서 한국의 이미지 개선이나 국내 기업의 해외 수주 등은 부수적”이라고 말했다.
새마을운동의 세계화가 인도주의 차원에서 이뤄지는 사업이라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새마을운동이 주목받으며 해외 국가가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하는 것은 ‘자조’라는 항목이 현지 주민에게 주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http://res.heraldm.com/content/image/2013/11/28/20131128000925_0.jpg)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 계획의 추진배경
1960년대를 맞이한 한국경제는 자립과 번영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안정된 정치체제를 확립함으로써 1950년대의 외국원조에 의존한 경제체제에서 자립경제로의 발돋움을 하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할 수가 있었다. 박정희대통령은 자신의 지도이념을 바탕으로 우리 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였던 것이다. 조국의 경제근대화 기간동안 박대통령은 경제 최우선주의를 표방하고, 모든 행정체제를 개발지향형으로 개편, 운용함으로써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체제를 정비하였다. 근대화에 제일 중요한 것은 경제성장이다. 그런 까닭에 박대통령은 경제성장을 이루기 위해서 행정체제의 개혁부터 단행하여 경제기획원과 국세청, 공업진흥청, 노동청, 해운항만청 등을 신설하여 개발관료 체제를 확립하였던 것이다. 관료제의 제도적 확립은 국가 근대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즉, 개발도상국에서의 관료는 개발엘리트집단인 것이므로 이 집단이 무능하고 부패되는 경우 국가의 개발이란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료제의 확립은 근대화를 위한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청이라고 하겠다. 국가예산의 절반 이상을 외국원조에 의존해야 했던 실정이므로 우리의 현실은 지극히 암담했던 것이다. 따라서 그런 상황에서 농업부문을 먼지 개발해 놓고 공업화를 추진하는 개발전략은 현실적으로 용납될 수 없었다. 그만큼 당시의 빈곤은 절박한 것이었다. 농업근대화만으로는 실업자를 구제할 수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해마다 수십만 명씩 늘어나는 새로운 노동인구를 해결할 방도도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박대통령은 공업화만이 민족의 숙원이라 할 빈곤의 퇴치를 조속히 달성하고 자립경제를 이룩할 수 있는 첩경이라고 확신했던 것이다. 그러한 까닭에 선농업 후공업이라는 선진국의 근대화전략을 답습하지 않고 농공병진이라는 힘겨운 전략을 채택하여 한국적인 독특한 근대화 모형을 창출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2. 목표
(제1차) 주요 골자는 전력·석탄의 에너지원과 기간산업을 확충하고, 사회간접자본을 충실히 하여 경제개발의 토대를 형성하는 것이었으며 그 밖에 농업생산력을 확대하여 농업소득을 증대시키며, 수출을 증대하여 국제수지를 균형화하고 기술을 진흥하는 일 등이었다.
(제2차) 식량 자급화와 산림 녹화, 화학·철강·기계공업의 건설에 의한 산업의 고도화, 7억 달러의 수출 달성, 고용확대, 국민소득의 비약적 증대, 과학기술의 진흥, 기술수준과 생산성의 향상에 그 목표를 두었다.
(제3차) 중화학공업화를 추진하여 안정적 균형을 이룩하는 데 두었다.
(제4차) 성장·형평(衡平)·능률의 기조하에 자력 성장구조를 확립하고 사회개발을 통하여 형평을 증진시키며, 기술을 혁신하고 능률을 향상시킬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제5차) 이때까지 계획의 기조로 삼았던 성장을 빼고 안정(安定)·능률(龍率)·균형(均衡)을 기조로 하여 물가안정·개방화, 시장경쟁의 활성화, 지방 및 소외 부문의 개발을 주요정책 대상으로 하였다.
(제6차) ‘능률과 형평을 토대로 한 경제선진화(經濟先進化)와 국민복지의 증진’을 기본목표로 설정하고, 21세기에 선진사회에 진입하기 위한 제1단계 실천계획으로 수립되었다.
(제7차) 자율과 경쟁에 바탕을 두어 경영혁신·근로정신·시민윤리 확립을 통해 21세기 경제사회의 선진화와 민족통일을 지향한다는 기본목표 아래 기업의 경쟁력 강화, 사회적 형평 제고와 균형 발전, 개방·국제화의 추진과 통일기반 조성 등을 3대전략으로 삼았다.
3. 성과
1) 기간 산업의 발달 : 정유, 비료, 시멘트, 철강, 전기 등 다른 산업 발전의 바탕이 되는 공장들이 많이 세워졌다. 일자리가 늘어나 수출도 증대되었다.
2) 교통과 통신의 발달 : 철도, 고속 도로, 항구 시설과 위성 통신 지구국 등 과학 기술의 개발에 힘써 새로운 통신 시설도 늘어났다.
3) 수출 증대 및 공업의 발달 : 수출품을 생산하는 여러 가지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공업 분야의 발전이 두드러졌다.
4. 국민소득 변화, 수출*수입액 변화
제1차 5개년계획에서 국민총생산의 연 평균 목표 성장률은 7.1% 였으나 실제에 있어서 8.5%의 성장률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계획 실시 이전의 5년 간의 연 평균 성장률 5.4%에 비하여 3.1%가 높은 것이었다. 계획 기간 중 1인당 국민총생산은 1960년대의 82.60달러에서 1966년에는 126달러로 증가하여 연 평균 5.6%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산업구조는 기준연도인 1960년에 1차 산업이 35.2%, 2차 산업이 19.2%, 3차 산업이 45.6% 였던 것이 1966년에는 1차 산업이 31.7%, 2차 산업이 25.7%, 3차 산업이 42.6%로 바뀌었다. 즉 1차 산업과 3차 산업의 비중이 감소된 반면에 2차 산업의 비중이 커졌던 것이다. 이것은 광공업 등 2차 산업의 성장이 제1차 5개년계획의 높은 성장률을 주도하였음을 뜻하는 것이다.
한편 수출의존도는 계획보다 낮은 26.4 %로 떨어져 경제기반이 보다 탄탄해졌다. 그러나 물가는 예상보다 높은 3.3 %로 억제하는 데 그쳤다. 국제수지면에서 수출은 계획보다 늘어났으나 수입이 더 크게 증가하여 87억 달러 적자를 기록, 흑자기조 정착에는 실패하였다. 산업구조는 제조업의 비중이 91년 28.5 %로 낮아지고, 농림어업도 7.7 %로 떨어진 반면, 기타 서비스 부문은 크게 늘어났다. 지역간 균형에도 힘쓴 결과 도로포장률은 목표 70 %를 웃도는 76.4 %를 이룩하였다.
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87~91)은 ‘능률과 형평을 토대로 한 경제선진화(經濟先進化)와 국민복지의 증진’을 기본목표로 설정하고, 21세기에 선진사회에 진입하기 위한 제1단계 실천계획으로 수립되었다. 특히 흑자기조로의 전환에 따라 선진국의 보호주의 압력과 대내적인 소외부문의 소득보상욕구(所得補償欲求)가 더욱 커지게 되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자율 ·경쟁 ·개방에 입각한 시장경제 질서의 확립, 소득분배 개선과 사회개발의 확대, 그리고 고기술부문을 중심으로 한 산업구조의 개편을 중점과제로 삼게 되었다. 그 결과 경제성장률은 목표 7.5 %를 상회하여 10 %를 달성하였으며, 실업률은 2.4 %로 고용안정을 가져왔고, 저축증대에 노력한 결과 국내저축률은 당초 예상보다 높은 36.1 %에 이르렀다.
5. 기타사항
새마을운동
1. 목적
1) 1970년부터 정부는 농어촌의 근대화와 소득 증대를 위하여 새마을 운동을 추진하였다.
2) 국가발전을 꾀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2. 정신
1) 새마을 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의 정신을 바탕으로 함.
2) 새마을 운동은 한국의 독특한 지역사회개발운동으로 <근면>, <자조>, <협동>을 기본정신
3. 새마을운동의 시작
1970년 4월 22일 당시 대통령 박정희(朴正熙)는 전국지방장관회의에서 새마을가꾸기운동을 제창하였는데, 같은 해 5월 6일 구체적인 추진방안이 마련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71년부터 전국적 범위로 확대된 이 운동은 생활태도 혁신과 환경개선 및 소득증대를 통한 낙후된 농촌의 근대화를 취지로 하여 정부주도로 이루어졌다.
4. 주창자 -> 박정희
5.주요사업내용
1. 농어촌
2. 도시